창경궁 함인정 창경궁 함인정 이 곳에는 원래 성종 15년에 지은 인양전이 있었는데,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인조 11년(1633)에 인경궁의 함인당을 이건하여 함인정이라 한 것이다. 이곳은 특히 영조가 문무과거에서 장원급제한 사람들을 접견하는 곳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. 정면 3칸, 측면 3칸의 단층 팔.. 동영상·포토 갤러리/고궁·사찰·박물관 2011.11.24
창경궁 명정전 창경궁 명정전 조선 성종 15년(1484)에 창경궁이 조성되고, 그 정전으로서 명정전이 세워졌다. 이곳은 임금님이 신하들의 조하(朝賀)를 받거나 국가적인 행사가 거행되었던 곳으로 1544년 인종이 이곳에서 즉위하였다. 명정전은 경복궁이나 창덕궁의 정전과는 달리 남향이 아닌 동향이다. 이.. 동영상·포토 갤러리/고궁·사찰·박물관 2011.11.24
창경궁 명정문 창경궁 명정문 이 문은 명정전을 둘러싼 월랑 중 명정전과 마주보고 있는 동월랑의 중앙부에 있으며, 창경궁의 외문인 홍화문보다 안쪽에 놓여 중문의 기능을 갖는 평삼문이다. 위치로 보아서 명정전의 동서 중심축선상에 정확히 놓이지 않고 남쪽으로 약 1.2미터 벗어나 있다. 문의 좌우.. 동영상·포토 갤러리/고궁·사찰·박물관 2011.11.24
창경궁의 회화나무 창경궁 회 화 나 무 이 회화나무는 한자로는 느티나무와 같이 괴목으로 불렸고 동궐도(東闕圖, 국보 제249호)에도 보이는 나무이다.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가 죽은 곳이 이 근처이고 비극적인 사건이 많이 발생한 선인문과 역사를 같이 한 나무이다. 촬영 : 창경궁/2011년 11월 5일 동영상·포토 갤러리/고궁·사찰·박물관 2011.11.24
창경궁의 백송 창경궁 백 송 백송은 여러모습을 가진 소나무 종류중의 하나로서 하얀 껍질이 특징이나 처음부터 하얀 껍질이 아니라 어릴 때는 초록색이 들어간 푸른빛이다가 나이를 먹으면서 차츰 흰 얼룩무늬가 많아진다. 원래 고향은 중국 베이징 부근이며, 조선왕조 때 사신으로 간 관리들이 귀국.. 동영상·포토 갤러리/고궁·사찰·박물관 2011.11.24
창경궁 춘당지(1) 창경궁 춘당지 춘당지는 1909년에 조성된 원지(苑池)이다. 두 개의 연못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위의 것이 1,107평방미터, 아래 것이 6,483평방미터이다. 연못 속의 섬(366평방미터)은 1986년에 조성한 것이다. 춘당지가 있는 이곳은 원래 연산군이 서총대(瑞총臺) 앞 대지를 파다가 중종반정으로 .. 동영상·포토 갤러리/고궁·사찰·박물관 2011.11.23